본문 바로가기
여행과 놀이

매달 마지막 수요일은 영화 할인 7천원 입니다

by 루비82 2022. 10. 31.
반응형

요즘 영화 가격이 오르고 또 올라서
2d관람료가
평일에 14,000
주말은 15,000
청소년은 12,000원입니다

거기에 오랜만에 극장에 왔으니
음료 두 개에 팝콘라지 사이즈 정도를 구입하면 만원입니다

그렇다면 4인 가족이 영화를 한 편 보려면
7만 원은 써야 볼 수 있겠네요



그래서 각종 할인으로
좀 더 저렴하게 보려고
멤버십을 찾아보지만...

벌써 11월이라서
저는 통신사 할인도 끝난 상태거든요
( 저는 kt 멤버십으로
편의점 할인과 티브이 볼 때 유료 프로그램  할인으로 소진 하기 일쑤입니다 )

svip이신 분들은 1년에 몇 번씩 무료로
영화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kt를 몇 년째 쓰고 있어도
그 경지에는 오르지 못하는 저는
그런 혜택은 없습니다



극장 입구는 언제나 설레입니다



1. 통신사 할인?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영화 관람 기본 가격이 높아서
할인을 받더라도
관람료가 인당 만원 이상은 기본이지요

kt통신사 할인율을 보자면
12,000 티켓은 1,000원 할인
13,000 티켓은 2,000원 할인
14,000 티켓은 3,000원 할인
15,000 티켓은 4,000원 할인입니다

단 포인트 차감 이기 때문에
포인트가  있어야 합니다
2d 일반관 이어야 하고요

이렇게 예매를 하면
보통은 포인트가 차감되니까
영화를 저렴하게 봤다고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저는 어차피 다른 곳에서
현금처럼 할인받을 때 쓸 수 있는 멤버십이라서
영화 예매를 할 때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사용하는 것이
문화의 날 이용이지요

2. 문화가 있는 날


저도 이 날을 알게 된 게 그리 오래되지 않았는데요
이번 연도에 활발하게 사용 중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거리두기 좌석이나
음식 취식 등이 많이 풀려서 알아보던 중에 알게 된 프로그램이에요

문화가 있는 날 이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날로
지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뮤지컬 등도 50프로 할인되는 경우가 많아요

단순히 영화만 할인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화 프로그램도 할인이 많이 되니까
홈페이지에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본격적이죠


3. 한 달에 한 번이라니 붐비지 않을까?


아...
시간이 정해져 있기는 합니다
오후 5시에서 9시까지
상영 영화 기준으로 요금이 7천 원입니다

그래도 어느 극장에서만 적용된다든지
그런 게 아니라서
국내 극장이라면 상영관이 많기 때문에
전혀 붐비거나 많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시기도 하고요
극장에서도 딱히
'문화가 있는 날에는 7천 원 밖에 안 하니
이 날에 많이 보러 와라~~~'
하는 분위기도 아닙니다

조금 아쉽습니다
요즘은 키즈카페도
1시간에 만원 이상이라..
많은 분들이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4. 나는 할인 안 받으련다


하시는 분도 계실 듯
싶기도 합니다

모든 할인에는 제약이 있는데
가끔씩 영화를 보시면서
3dx나 슈퍼플렉스관 등등...
특화된 상영관과
일반 영화가 아닌 영화들은 제외가 됩니다

좀 특별하게 상영되는 영화는
문화가 있는 날 할인에 해당이 안 된다고 생각하시면 거의 맞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도 저는
영화를 즐겨 보는 사람으로서

집에서 보는 것보다는
어두컴컴하고 사운드가 화려한 극장이 어쨌거나 좋기 때문에
상영관을 가리지 않고
이 혜택을 잘 이용합니다


저희 20년대생 할머니께서는
제가 학생 때 영화를 보고 온다고 하면
"극장 구경 가는구나 "라고 했죠

그때 저는
극장을 구경 가는 게 아닌데?라고 생각했었답니다



그렇듯 극장이라는
특별한 공간에 방문한다는 건
꽤 즐겁습니다




반응형

댓글